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서버 점검 공지
|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케이팝 데몬 헌터스
(r2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공식 굿즈 오류 === [[파일:넷플릭스_오피셜_굿즈_상태가.png|width=800]] [[파일:루미_님_이라고.jpg|width=600]] 공식 굿즈 사이트에서 헌트릭스 캐릭터가 그려진 [[티셔츠]]를 판매했는데, 미라의 이름이 ''''MIRA KOTADOSKI(미라 코타도스키)''''[* 한국에서는 유독 슬라브계 성씨인 [[스키(인명)|-스키]]가 러시아에서 많이 쓰인다는 인식이 있으나 실제론 [[폴란드]]에서 더 많이 쓰인다.], 루미는 ''''RUMI NIM(루미 님)''''으로 기재되어 있었다. 헌트릭스 멤버들의 생일이나 성씨 등 개인 신상 정보 대부분이 작품에서 등장하지 않았는데 [[뇌피셜|뜬금없이 소니가 확인하지 않은 멤버들의 풀네임을 붙인 것이다]]. 일단 루미의 경우 존칭어로서의 [[님]]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한의원에서 한의사(허준봉)가 "루미 님~" 이라고 부른 걸 넷플릭스가 풀네임으로 착각한 모양. 당연한 말이지만 한국인의 성씨 중에 '님씨'는 없다.[* 물론 임씨(林氏/任氏)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[[두음법칙]]으로 발음해도 '림씨'이지, 님씨는 아니다.] 오류가 가장 심각했던 미라의 경우, 히어로 캐릭터를 다루는 [[FANDOM]] 위키의 미라 문서에서 [[문서 훼손]]된 [[https://hero.fandom.com/wiki/Mira_(KPop_Demon_Hunters)?diff=prev&oldid=3935427|버전]] 내용을 정작 공식 배급사인 넷플릭스 측에서 전혀 검수하지 않고 그대로 반영해버린 것이다. 당시 반달이 수습되기 전까진 구글 검색 결과에서도 그대로 반영됐던 상황이라 담당자가 이를 거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. [[https://www.dogdrip.net/645565396|#]] 애초에 한국을 비롯한 [[동아시아]]에서는 성+이름 순이 일반적이지만, 이를 제외한 거의 대다수 국가는 이름+성 순이 일반적이고 여기에 미들네임이 더 추가되는 식이다. (그나마 유럽의 [[헝가리]] 정도가 동아시아와 비슷하게 성+이름 순의 표기법을 가지고 있을뿐이다.) 이 밖에도 해당 위키의 미라 문서 버전 비교 페이지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문서 훼손자는 공식적으로 이름이 공개된 적 없는 미라네 가족 구성원에게도 자기가 [[뇌피셜|멋대로 지어낸 이름]]을 공식인 것처럼 그대로 써놓았다. 미라의 아버지는 '키로 코타도스키(Kiro Kotadoski)', 미라의 어머니는 '두니아 코타도스키(Dunia Kotadoski)' 미라의 오빠는 '마수 코타도스키(Masu Kotadoski)'라는 괴상한 이름까지 붙어있다. 물론 [[재외동포]] 중에선 외국 성씨와 이름을 가진 이들도 있지만, 본작의 미라가 재외교포라는 설정은 확인되지도 않았을 뿐더러[* 교포라는 설정은 헌트릭스의 다른 멤버인 [[조이(케이팝 데몬 헌터스)|조이]]에게 있다.] 그렇다 치더라도 미라의 부모님이 둘 다 한국계이기 때문에 폴란드계 성씨일 가능성은 매우 낮다. 결국 해외 팬들이 넷플릭스에 강력하게 항의를 했는지[* [[X(SNS)|X]]에서 해당 키워드로 검색할 때, 미라나 루미의 성씨가 저게 맞냐는 해외 팬들의 항의식 글이 월등히 많이 나온다. [[한류|그만큼 이 작품이 해외에서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았다는 증거다.]]] 해당 물품 페이지는 빠르게 내려갔다. [[https://www.netflix.shop/en-kr/products/k-pop-demon-hunters-mira-kotadoski-oversized-faded-t-shirt?srsltid=AfmBOoobVXzXv7Puym-GREZm8nXIYu-nXjhC6QHI1fyPh1o7buOozO5-|#]] 현재는 정상적인 이름으로 수정되어 다시 올라온 상태. [[https://www.netflix.shop/en-kr/collections/kpop-demon-hunters/products/kpop-demon-hunters-mira-oversized-faded-t-shirt|#]] ---- * 원래는 제작진들에게만 나눠주던 특전 굿즈를 제작진과 상의도 없이 공식 굿즈로 판매한 것이 밝혀져 제작진 중 한 명이 불만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. [[https://x.com/cramdoodles/status/1944078209802203358|#]][[https://gall.dcinside.com/mgallery/board/view/?id=sajaboys&no=2726|#]] * 콩가라인(Conga line)[* [[쿠바]]의 카니발 댄스에서 파생된 라인 댄스로서 1930년대와 1950년대에 미국에서 인기를 얻었던 춤이다. 지금도 올드한 느낌의 파티에서 종종 보이기도 한다. 주로 [[수련회]] 등에서 어깨나 허리를 잡고 꼬리를 만들어서 빙글빙글 도는 춤이 바로 콩가라인이다.]을 추는 사자 보이즈의 핀브로치를 판매했었다. ||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500px><nopad> [[파일:콩가라인_추는_사자보이즈.jpg|width=100%]] || 멤버 전원의 포즈가 서로 동일하고 유독 엉덩이를 우스꽝스러운 포즈로 과하게 강조한 점[* [[심슨 가족]]의 등장인물인 [[네드 플랜더스]]의 [[https://simpsons.fandom.com/wiki/Stupid_Sexy_Flanders|Stupid Sexy Flanders]] 밈을 패러디 한 것이다.]이 [[대상화#남성의 대상화|남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]]에 해당될 여지가 있어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다. 이쪽은 상술한 티셔츠 굿즈 사건과 달리 큰 오류를 범하고 있진 않아서인지 당장 내려가지 않고 계속해서 판매하다가 동년 7월 중순 즈음에 판매가 중단되었다. * [[페르소나 5 더 로열]]의 총공격 연출 구도 삽화를 패러디한 [[https://www.instagram.com/p/DLiu7cnSLWk/|팬아트]]를 무단으로 사용하여 티셔츠 굿즈를 판매하여 논란이 된 바 있었다. [[https://www.reddit.com/r/Persona5/comments/1lyocph/kpop_demon_hunters_poses_looks_familiar/|#]] 해당 삽화는 [[http://www.manuelarmonio.com/|마누엘 아르모니오]]라는 텍스처 아티스트가 그린 팬아트로, 당사자도 이를 부정하지 않고 패러디임을 밝혔으나, 정작 자신의 팬아트가 사용된 굿즈가 판매되었다는 정보는 넷플릭스로부터 사전에 들은 게 없다면서 당혹스러워하는 반응을 보였다. 즉, 아무리 2차 창작이라도 엄연히 원작과 별개로 저작권이 존재하는 팬아트를 공식이 멋대로 가져다 쓴 것이다. 결국 이쪽도 동년 7월에 판매가 중단되었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